나를 지우고, 나를 세우는 힐링이 있는 여행에세이 ‘포구를 걷다’(도서출판 예린원)가 출간되었다.
‘포구를 걷다’는 시인 동길산의 산문과 포토그래퍼 조강제의 사진을 모아 엮었다. 삶의 흔적과 추억이 아스라한 부산의 포구 스무 곳을 걸으며 쓰내려 간 기행문과 서정이 짙은 사진으로 이 책은 구성되어 있다.
뭍과 물의 경계에서 더 나아 갈 곳 없어마음만 수평선 너머로 보내는 땅의 끝, 포구.
떠밀리고 밀려 이제 마지막으로 닿은 곳. 그래서 포구는 그리움이 있는 공간이고 회한과 사색의 시간이다.
"모래는 얼마큼 밀려와야 섬이 되나. 흙은 얼마큼 씻겨 와야 섬이 되나. 나는 얼마큼 밀리고 얼마큼 씻겨야 내 안에 섬 하나를 우뚝 쌓나.”
포구에서 무심코 만나는 대상을 시인 동길산은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대상이 말을 걸고 있는 방식을 쉽게 풀어 독자에게 툭 던져 놓는다. 암남포구가 있는 송도에서는 젊은날 구름다리에서의 기억을 더듬으며 "불안한 구름다리는 이제 콘크리트 다리가 되어 흔들어도 흔들어도 흔들리지 않는다. 불안하던 그때가 좋은가. 흔들어도 흔들리지 않는 지금이 좋은가.”라고 묻는다. 그냥 지나치면 아무것도 아닌 콘크리트 다리를 벌떡 일으켜 세워 독자에게 말을 건낸다. 아니 독자 스스로 자문하게 툭 던져 놓는다. 그 뿐이다. 자잘한 설명이나 충고는 없다. 시인이 그냥 시인이 아니다.
포토그래퍼 조강제의 사진에는 여백이 많다. 그의 프레임에는 대부분 사람이 있다. 사람의 표정이 아니라 몸짓이 있다. 몸짓이 프레임을 이끌어 가기에 그의 사진에는 언제나 서정성과 스토리텔링 좋다. 때로는 글을 바쳐주며, 때로는 글을 리드하며 심상에 꽂히는 장면, 장면들이 퍽이나 인상적이다.
이 책의 뛰어난 점은 바로 오랜 동안 교유한 프로 글쟁이와 프로 찍사가 포구라는 주제로 콜라보레이션 하고 있다는 데 있다.
일상을 의미있게 캡쳐하는 시인과 일상을 낯설게 스토리텔링하는 사진가의 만남. 언어 이미지와 사진 이미지의 특별한 조우와 시너지. 이 책은 그래서 쟁쟁한 울림이 더 크다. 나를 지우고, 나를 세우는 힐링이 곱절이다.
"더 이상 밀려날 데 없는 세상의 끝 그러나 끝에 이르러 비로소 중심이 되었으니..."
흔들리는 당신, 지친 당신에게, 들려주는 특별한 울림을 들어 보시라.
•분야 : 여행에세이
•글 : 동길산, 사진: 조강제
•ISBN 979-11-85124-06-3 (03810)
•책크기 : 신국판 변형
•면수 : 280면
•가격 : 14,500원
•발행일 : 2015. 5. 25
•발간 : 예린원 (T. 051-747-5099)
저자 소개
글•동길산 董桔山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나 초중고와 대학을 모두 부산에서 나왔다. 1980년대 말 무크지 ‘지평’ 9집에 시 10편을 발표하면서 시인의 길로 들어섰다.
1992년부터 다니던 직장을 그만 두고 부산과 경남 고성 대가면 어실(魚室)마을을 오가며 ‘내 글’에 전념하고 있다. 어실은 버스가 하루 세 번 다니는 산골이다.
시집 ‘뻐꾸기 트럭’ ‘무화과 한 그루’ ‘줄기보다 긴 뿌리가 꽃을 피우다’ ‘바닥은 늘 비어 있다’ ‘을축년 詩抄’ 등 다섯 권을 펴냈다.
산문집은 ‘시가 있는 등대 이야기’ ‘우두커니(2013년 문체부 우수교양도서)’ ‘길에게 묻다’가 있다. ‘포구를 걷다’는 네 번째 산문집이다.
사진•조강제 趙崗濟
서울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문화기획자로 활동해 왔으며 지금은 사진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출판사 소개
예린원은 엔크리에이티브(주)의 출판 브랜드이다. 새로운 시대 흐름을 반영하여 종이책과 더불어 모바일 기기에서 리치미디어를 활용한 인터렉티브북(App Book)을 발행하는 기술력을 갖춘 출판사이다. 여행에세이 ‘지구와 연애하는 법’ (이호철•김승란), ‘레인보우 부산’ (장은진) 등이 출판과 더불어 앱스토어와 플레이스토어에 출시되어 있다. '레인보우 부산’ 앱북은 2014 부산콘텐츠어워드에서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