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진도의 시인 천병태의 여섯 번째 시집 '바다를 떠난 섬' 출간

출판소식

by book-n 2017. 8. 7. 10:05

본문

진도의 시인 천병태의 여섯 번째 시집 '바다를 떠난 섬' 출간 (예린원) 




• 분야 : 한국문학(시) / • 지은이 : 천병태 / • ISBN 979-11-85124-11-7 (03810)

• 책크기 : 신국판(변형) / • 면수 : 94면 / • 가격 : 10,000원 / • 발행일 : 2017. 7. 24

• 발간 : 도서출판 예린원 (T. 051-747-5099)


출판사 서평


1.

살아갈 날이 살아온 날보다 훨씬 짧은 시인이 바라보는 세상은 어떠할까? 시시때때로 마주하는 유한한 삶의 끝자락에서 시인이 갈구하며 지새운 시간을 되돌아보는 내면은 상대적으로 더 젊은이들의 그것과는 질이 달라도 한참 다를 것이다.   

대상에서 자신의 삶을 다시금 바라보는 힘의 근원은 갈망하며 살아온 시절과 그 절박했던 시간을 “자기 위로”로 되돌아볼 수 있는 평정심에서 시작된다.


… 

오래도록 머리를 괴이고

허기진 남루의 한 생을 열어보면

가슴 속 어느 구비에서는

하늘다리 아래 물빛처럼

시퍼런 상처가 떠오르기도 하지

서둘러 옷깃을 여미지만

부끄러워라 욕망의 허물들이 칙칙하게 겨울비에 젖어가는

저문 십이월

비 내리는 양덕기미 해변을 서성이는 날

 

… 


막막하여라

목숨 또한 쉬 저물리라

어김없이 제 품을 열어 한 생을 거두는 

죽음 같은 어둠

추위에 웅크리고 나앉은 떼물새의 소슬한 죽지 위에도

파도소리처럼 나직이 숨죽여 우는 관호마을

바다의 결 같은 고샅길 구비 위에도

속절없이 어둠은 내리리라 쌓이리라


십이월 긴 밤

멀고 긴 꿈을 접고

홀로이 관매도에 들어

아, 내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면

이승의 어느 구비마다

그리워서 행복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던가

사람아, 내 사람아 

-‘겨울 관매도’ 중에서-


“목숨 또한 쉬 저물” 것임을 잘 아는 시인은 살아온 지난날들을 하나씩 되짚어 보며 “가슴 속 어느 구비”에 있는 어리석고 부끄러운 기억들도 들추어 내기도 하고, “멀고 긴 꿈을 접을” 때가 됐음도 안다. 

유한한 삶의 끝자락을 내내 보고 있는 시인의 시는 참 슬프다. 아니, 평정심이 없다면 참 슬플 것이다. “아 하루살이, 자신을 우습게 보며 즐길 내일마저 우습게 보는!”(‘하루살이’, 황동규)류의 평정심이 있기에 “그리워서 행복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던가” 하고 “자기 위로”를 말할 수 있는 게 아닐까?


2.

거차도, 병풍도, 동거차, 맹골죽도, 팽목항… 그렇다. 육지에 사는 사람이라면 죽을 때까지 모르고 살았을 섬의 이름들, 세월호 참사가 아니라면 그리 알려지지도 않았을 진도 앞바다의 섬들이다.  

천병태 시인은 태어나서 학창시절 일부를 빼고 나면 평생을 진도에서 살아온 그야말로 진도 토박이이다. 「바다를 떠난 섬」을 구성하는 1부의 제목들이 전부 진도 주변의 섬 이름으로 이루어져 있음에서 보듯 섬과 바다는 그의 삶이자 시와 그를 이어주는 다리이다.  


여미 뒷개

관사도 섬봉우리가 벗어놓고 떠난 노을


아, 눈이 부셔 하늘의 맨살이 열리네

빈 선창에는 불맞은 파도소리가 숨어들고


폐분교의 삭은 교문에 머리를 기대고 서면ᅠ

병든 수캐처럼 끌고 온 기억의 종점

… 

-‘여미마을’ 중에서-


천병태 시인에게 있어서 섬과 바다는 내면을 시어로 형상화하는 단순한 매개체를 넘어 시의 원형으로 자리하고 있다. “생각하니/내가 헤매던 곳은 언제나/땅끝이었다”(‘카보 다 호카’ 중에서)라며 “자기 위로”의 과정을 밟고 있는 시인, 섬들의 굽이굽이와 바다의 속살까지 꿰차고 있는 시인에게 진도 앞바다 세월호 참사가 시에 녹아는 일은 당연하다. 물론 세월호 참사를 직접 언급한 시는 시집을 통틀어 ‘저문 팽목항’과‘어부 야보고’ 두 편이다. 그러나 그의 시 군데군데 스며있는, 지금도 진행형인 그날의 참사를 내면화시킨 시인의 시어를 따라 걸어보는 것도 이 시집이 갖는 의미일 것이다. 


저자 소개

천병태 시인은 전남 진도에서 태어나 월간 '시조문학'과 '문학예술' 신인상을 통해 문단에 나와서 전남문학상과 편운문학상, 전라남도문화상을 수상했다.

「나배도 소식」을 시작으로 「바다를 떠난 섬」까지ᅠ시집ᅠ6권을 낸 그는 전남시인협회장, 펜클럽, 한국시조시인협회이사, 문학예술동인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진도예총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1부 섬 안의 섬

가사도 봄소식/조도 바다/거차도 생각/겨울 관매도/

내병도 앞바다에는/눌옥도에서 울다/밖갈미섬/병풍도 지나며/

동거차 바다/맹골죽도/여름 비아도/여미 마을/접도바다/어류포 물빛/

조도 등대/안개의 정원/독거도 근해/청등도 한시절


2부 머나먼 떠돌이

이국에서/교하에서 만난 소나기/길림 무송/리강에 비뿌리고/폐농/

송화강 무송도 가면서/길림 상학이/바다를 떠난 섬/하얼빈, 안녕/나가사키 인상/까스티아 라만차의 돈키호테/레온 대성당/바라보기/어부 야보고/

톨레도 사람들의 마음으로/포르투 선창가/까보 다 호까


3부 가슴에 머무는 섬

매화지는데/봄 눈/봄비 그치고/삼월에 그대를 묻네/읍구 나루 가는 길/

사월아 사월아/사월 산/수국/치자꽃 향내/잣밤나무 아래서/구시월 달밤/

가을이 깊어/낙화/또 한 시절/다산을 거닐며/우이도 문순득 씨와 정약전 씨/

간절곶에서/예초리 연가/청산도 추억/어부의 노래/섣달 그믐밤



본문 중에서


오래도록 머리를 괴이고 

허기진 남루의 한 생을 열어보면

가슴 속 어느 구비에서는

하늘다리 아래 물빛처럼

시퍼런 상처가 떠오르기도 하지

서둘러 옷깃을 여미지만

부끄러워라

욕망의 허물들이 칙칙하게 겨울비에 젖어가는

저문 십이월

비 내리는 양덕기미 해변을 서성이는 날 

_‘관매도’ 중에서


안개는 매우 구체적이다

삶은 

비웃으며 자주 어긋나지만

나름의 궤적을 정하여 흘러가는 것처럼

안개의 흐름 또한 매우 물리적이다

거대한 반투명의 집단이동 속에서

홀로

길을 잃다 잃은 길 또한 길이다


나는 잃어버린 길을 사랑한다 

_‘안개의 정원’ 중에서


여미 뒷개

관사도 섬봉우리가 벗어놓고 떠난 노을


아, 눈이 부셔 하늘의 맨살이 열리네

빈 선창에는 불맞은 파도소리가 숨어들고


폐분교의 삭은 교문에 머리를 기대고 서면 

병든 수캐처럼 끌고 온 기억의 종점

_‘여미 마을’ 중에서


대섬을 되돌아나가는 막배의 모습이

유난히 황량한 날

황무지처럼 버려진 팽목 바다에는

수많은 울음들이 서로 손을 잡고

수평선을 건너오는 노을 맞이를 한다

이제 저문 팽목항은 만조

나는

너의 울음가에 맺힌 눈물이 되고 싶다

_‘저문 팽목항’ 중에서


그러나 나는 증오하는 법을 잊었다

잠시라도 멈추면 질식하는 참치처럼

망망한 태평양 바다를 죽도록 헤엄치는 참치처럼

인간의 무리에서 낙오하지 않기 위하여 달려왔으나

나는 살아가는 법을 잊었다

나는 사랑하는 법을 잊었다

_‘바다를 떠난 섬’ 중에서






출판사 소개


예린원은 엔크리에이티브(주)의 출판 브랜드이다. 새로운 시대 흐름을 반영하여 종이책과 더불어 모바일 기기에서 리치미디어를 활용한 인터렉티브북(App Book)을 발행하는 기술력을 갖춘 출판사이다. 

‘레인보우 부산’ 앱북은 2014 부산콘텐츠어워드에서 금상을 수상한 바 있고, 2015년 출간한 ‘포구를 걷다’(동길산, 조강제 지음)는 세종도서 및 부산문화재단 지역우수도서로 선정된 바 있다. 

블로그 : http://blog.daum.net/ncreativeinc


• 언론 연락처-

엔크리에이티브(주)_도서출판 예린원(부산시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140 (부산문화콘텐츠콤플렉스 616호)

대표 진현욱 / 051_747_5099 / email:redcomplaza@naver.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